라벨이 정월대보름 놀이인 게시물 표시

정월대보름은 무슨 날일까, 정월 대보름 놀이와 음식

올해 정월대보름은 2월 15일 일요일입니다. 정월대보름은 어떤 날일까요?  정원대보름에 하는 일, 놀이와 음식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월대보름의 유래 삼국유사에 따르면 오곡밥을 먹는 풍습은 신라시대 소지왕 때부터였다고 합니다.  마을 사찰 중 까마귀가 심하게 울어 가보니 본인에게 누군가가 역모를 꾸미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큰 화를 면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까마귀에게 고맙다는 의미로 매년 음력 1월 15일에 찰밥으로 제사를 지냈는데 이러한 풍습이 전해 내려와 오늘날까지 이어진 것입니다.  정월대보름에 하는 일  정월대보름에는 민속놀이를 하며, 오곡밥을 해먹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민속놀이가 있고, 오곡밥은 어떤 음식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그 외의 먹는 음식들은 무엇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정월대보름 민속놀이 ⠂연날리기 정월대보름에 주로 남성들이 즐기던 놀이라고 합니다. 연을 만들어 공중에 띄워 날리며 소망을 빌기도 하고, 상대방 연의 줄을 끊는 내기성 놀이도 합니다.   ⠂줄다리기 줄다리기는 너무도 유명한 우리나라 전통놀이입니다. 정월대보름뿐만 아니라 추석, 단오 등에도 행하는 놀이로 두 편으로 나누어 줄을 당겨 승부를 겨룹니다.   ⠂고싸움 고싸움은 우리나라 중요무형문화재 제33호입니다.  집단놀이로 둥그런 모양의 고를 만들어서 서로 맞부딪쳐 싸우며 승부를 겨룹니다. 예전에는 마을끼리 대항을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차전놀이 강원도 춘천, 경기도 가평, 안동지방에서 주로 행해졌으나 오늘날은 안동의 차전놀이만 중요무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습니다.  정월 대보름날 동부와 서부로 편을 나누고 나무로 만든 동채 위에 대장이 올라가 한 손으로 지위를 하며 상대편 동채를 위에서 눌러 땅에 닿게 하는 놀이입니다.  정월대보름 음식  ⠂오곡밥 오곡밥을 먹는 이유는 그 해의 곡식이 잘 되길 바라는 마음과 겨울철에 부족했던 영양소를 섭취하면서 한 해의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오곡밥은 비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