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9급공무원인 게시물 표시

2023 공무직 월급표 및 수당, 장단점, 입사 현실 처우

이미지
공무직은 어떤 직종 공무직은 공공기관에서 결원 발생할 경우 대체인력, 일용직 등의 형태로 고용하였다가 2년이 지나 무기 계약으로 전환된 형태의 직종입니다.  보통 공공기관에서 기간제 근로자로 채용 후에 1년 단위 재계약을 하다가 근무한 지 2년이 지났을 때 심사에 의해서 공무직으로 전환합니다.  예전 무기계약직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쉬우실 것입니다.  공무직은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며 공무원에 준하는 대우(월급, 수당)을 받는 것이 메리트입니다. 공무직 노조까지 존재하여 각종 협상 등을 통해 처우를 개선하기도 합니다.  근로기준법 적용으로 공무원 신분이 아니라 공무원연금을 받지는 못하지만 정년이 보장되는 직종이라 인기가 높습니다.  공무직 채용 절차  공무직 채용은, 인원이 필요한 지자체나 공공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채용 공고를 하고 지원하는 방법이 있으며, 공무직 채용을 총괄하는 사이트인 나라일터( https://www.gojobs.go.kr )에서 확인하여 지원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처음부터 공무직이라는 용어를 쓰며 채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기간제 근로자, 대체인력, 일용 근로자 등의 형태로 채용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서울시 공무직 월급과 수당  2023년 서울시 소방기관 공무직 채용시험 공고에 나온 급여 표입니다.  2023년-서울시-3개직종-공무직-월급표 2023년-서울시-4개직종-공무직-월급표-1 2023년-서울시-4개직종-공무직-월급표-2 공무원은 국가가 채용하나, 공무직은 자치단체 및 기관장이 채용권자이기 때문에  근무하는 기관, 직종에 따라 급여가 조금씩 달라 표준화된 것은 없습니다.  급여 상승 폭도 월 1만원 상당으로 적은 편이나 일반직종의 경우 33호봉까지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명절휴가비, 위생 수당, 위험수당, 대민업무 수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만 어떤 기관은 상여금, 시간외근무수당, 정근수당까지 지급하는 곳도 있고 계속해서 처우는 좋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